본문 바로가기
건강

요요 없는 건강한 다이어트 가능한가?

by Hoo-in 2023. 12. 19.

요요 없는 건강한 다이어트 가능한가?

 

몇 개월 간 빼온 살들이 전부 다 돌아와 버린다면

심지어 더 많이 돌아온다면 이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

이런 끔찍한 현상을 겪을 확률이 무려 80%가 넘는다고 한다.

다이어터들을 공포에 떨게하는 요요 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요요 현상이란

 

요요현상은 체중 감량 후에 체중이 다시 늘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체중 감량을 위해 식이요법이나 운동을 시작한 사람들 사이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요요 현상의 원인

 

급격한 식이요법이나 극단적인 다이어트로 인해 몸이 에너지를 절약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체중 감량이 빠르게 일어날 경우, 몸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음식에서 더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려고 한다.


또한 다이어트로 인한 급격한 체중 감량은 신체에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호르몬 수준이 변하고, 신체는 다시 적절한 에너지 및 영양소 공급을 받기 위해 더 많은 음식을 저장하려 할 수 있다.


심리적인 요인도 많은 기인을 하는데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이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한 과식, 폭식 등으로 식사량이 늘어나 요요 현상의 원인이 된다.

 

 

예방 방법은?

 

점진적이고 꾸준한 다이어트가 중요하다. 너무 급격한 체중 감량을 피하고, 목표 체중을 점진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표 체중을 달성 한 뒤에도 '유지어터'라는 말이 있듯이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올바른 식사 습관으로 영양소가 풍부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칼로리 섭취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사실 다이어트는 식단과의 싸움이라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식습관이 제대로 자리 잡혀야 오랫동안 꾸준히 체중감량 및 유지를 할 수 있다.

근력 운동을 하여 근육량을 유지, 증가 시키는 것도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활동 대사량이 증가하여 음식을 많이 섭취해도 칼로리를 그만큼 다 소비를 하기에 운동선수나 근육이 많은 사람들은 먹는 것에 비해 살이 덜 찌는 편이다.


요요 현상의 많은 원인중 하나인 스트레스 관리 또한 잘하여야 한다.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체중에 민감해하지 않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다이어트에 임하는 것이 좋겠다.

 

 

 

나도 몇 개월 전 체력 시험을 쳐야해서 빠르게 다이어트를 해야 한 적이 있었다. 체중이 많이 나가 몸이 둔해져서 체력시험을 응시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단기간에 빠르게 감량할 수 있었던 나만의 노하우를 공유해 보겠다. 

 

나는 우선 공복 운동이 가장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공복에 진행하는 운동은 지방을 가장 잘 태운다. 물론 공복이라 무리를 해서는 안되겠지만 공복은 다이어트의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전날 저녁 6시 식사를 마치고 다음 날 아침 기상 후 가벼운 유산소, 무산소 운동을 진행하였다.

 

식사는 단백질은 체중x1.5g 정도로 충분히 섭취해 주었고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를 통해 양질의 지방을 어느 정도 섭취했다. 탄수화물이 중요한데 나는 탄수화물을 하루에 밥 1.5 공기로 제한하고 주말에 충분히 먹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를 탄수화물 사이클링이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따로 다루려고 한다.

 

이렇게 해서 한달에 8kg을 감량했다. 순수 체지방만 8.5kg 빠져있었다. 평소 운동을 자주 해왔던 터라 덜 힘들었을 수도 있지만 다이어트는 누구에게나 힘든 일이다. 

요요현상은 다행히 오지않았다. 식습관을 예전보다 클린 하게 가져가려고 노력하고 적절히 운동을 하고 있는 덕분인 것 같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모두가 비만과 요요현상 없이 건강한 신체와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살길 기원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증상과 관리  (1) 2023.12.19
꿈을 자주 꾼다면  (1) 2023.12.19
윔 호프(Wim Hof)호흡법의 효과와 원리  (1) 2023.12.18
허리 통증의 원인과 치료 및 예방  (0) 2023.12.18
지긋지긋한 두통 원인은  (1) 2023.12.18